알랭 레네 감독의 <히로시마 내 사랑>은 누벨바그 영화의 정점을 찍은 작품으로, 히로시마 원폭의 역사와 프랑스 여인의 연정을 교차시키면서 '기억'이라는 주제를 심도 있게 탐구합니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피어난 사랑은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서 인간이 겪은 트라우마와 망각, 그리고 윤리에 관한 철학적인 질문으로 확장됩니다. 본 리뷰에서는 기억의 편린, 사랑과 전쟁의 이중구조, 영화적 문학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영화의 상징과 예술적 가치를 분석합니다.
기억의 편린, 잊을 수 없으면서도 잊히는 것들에 대하여
<히로시마 내 사랑>의 시작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인물의 등장보다 먼저 관객을 맞이하는 것은 다큐멘터리 장면과 함께 흘러나오는 대사입니다.'당신은 아무것도 보지 못했어요, 히로시마에 대해.'라는 일본인의 말과 '나는 모든 것을 보았어요'라고 대답하는 프랑스 여인의 음성은 이 영화의 핵심 주제인 '기억의 편린'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기억이라는 개념이 결코 전면적으로 복원되지 않음을 전제하고 시작하게 됩니다. 히로시마라는 도시가 상징하는 것은 단순한 전쟁의 비극이 아닙니다. 그것은 기억할 수 없을 정도로 끔찍했기 때문에, 도리어 더 강하게 존재하는 '망각에 저항하는 기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주인공은 히로시마에 온 프랑스 배우이며, 일본 남성과 하룻밤을 보내면서 과거의 사랑을 떠올립니다. 그녀의 과거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군인과 사랑에 빠졌던 기억입니다. 그녀는 그 사건으로 인하여 고향에서 조롱과 수모를 당하면서 머리카락이 잘리고 지하실에 갇혀 지냅니다. 그 기억은 분명 그녀의 내면 깊숙이 존재하지만 동시에 말할 수가 없는 기억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이 영화의 기억은 전면적이고 선형적인 것이 아니라 단편적이고 감각적인 것입니다. 갑작스러운 이미지의 삽입, 느린 대사, 반복되는 회상은 관객으로 하여금 하나의 기억을 완전히 공유하기보다는, 조각조각을 통해서 파편화된 감정을 함께 느끼게 만들어줍니다. 영화는 '기억' 그 자체보다 기억하려는 노력과 그 안의 고통을 더욱 깊이 응시합니다.
사랑과 전쟁의 이중구조, 개인과 세계사 사이의 파열음
이 영화는 전쟁과 사랑이라는 두 개의 층위를 겹쳐서 놓습니다. 개인의 내밀한 기억과 집단적인 역사, 프랑스와 일본, 여성과 남성,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미지가 겹겹이 쌓이게 되면서도 경계를 허물지 않고 조심스럽게 충돌합니다. 히로시마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인간이 상상할 수가 없는 고통의 집합체이며 그곳에서 피어난 사랑은 단지 감정의 교류가 아닌 상처의 연대입니다. 여주인공은 일본 남성과의 사랑을 통해서 과거의 고통을 반복하듯이 되새기고, 동시에 새로운 이해와 해방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그녀는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남성 역시 그녀를 통해 과거를 구원하지 않습니다. 이 영화가 뛰어난 이유는 바로 이러한 지점입니다. 사랑은 구원이 아니라 기억의 형식으로 존재합니다. 영화의 후반부에서는 두 사람은 서로에게 이름 대신 '히로시마'와 '뇌베르'라고 부르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명명은 단순한 감정의 정체화가 아니라 역사의 장소화를 의미합니다. 그들은 서로에게 국가, 전쟁, 상처, 고향이라는 무게를 담은 존재가 되어갑니다. 그리고 이러한 호칭은 더 이상 개인적 연애 감정을 넘어서 역사의 상흔이 두 인간 사이의 감정에 어떠한 깊이를 부여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렇듯 <히로시마 내 사랑>은 전쟁을 배경으로 한 러브스토리가 아니라 사랑이라는 렌즈를 통해 전쟁을 이해하는 독특한 방식의 내러티브입니다. 개인의 연정은 세계사의 비극과 교차하면서 그 안에서 탄생하는 감정은 낭만적이라기보단 잔혹하고 숙연합니다.
영화적 문학성, 대사의 리듬과 이미지의 시적 구성
<히로시마 내 사랑>은 영화지만 동시에 하나의 시처럼 느껴집니다. 이 작품이 특별한 이유는 시나리오를 작성한 마르그리트 뒤라의 문학적 언어가 영화의 전체적인 구조 및 리듬을 지배하기 때문입니다. 영화의 대사는 인물 간의 '소통'을 위한 언어라기보다는 각자의 고백과 응시가 교차하는 문학적 서술에 가깝습니다. 여자 주인공의 독백은 문장보다 문장 사이의 쉼과 공백이 중요하며, 말이 멈춘 순간조차 의미를 담아냅니다. 이는 일반적인 극영화의 리듬과는 전혀 다르며 오히려 낭독극, 또는 장편 서사시를 연상케 합니다. 알랭 레네는 이 언어의 리듬에 맞추어 시청각적 이미지를 구성하고 그 결과 시간과 공간이 분절되지 않은 하나의 몽타주처럼 관객의 뇌리에 남습니다. 시네마 베리테나 누벨바그적 즉흥성이 아닌 이 영화는 철저하게 계산된 시적 구성 위에 세워졌습니다. 히로시마의 거리, 박물관, 병원, 지하실, 그리고 침대 위 모든 장면이 감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감정이 머무는 장소르 기능하고 있습니다. 특히 후반부에는 감정의 고조나 클라이맥스 없이 잔잔하게 끝맺음됩니다. 하지만 바로 그러한 점에서 이 영화의 미덕이 빛이 납니다. 드라마틱한 폭발이 아닌 파문처럼 번지는 여운을 남기면서 관객은 오래도록 이 영화를 떠올릴 수밖에 없습니다.
기억할 수 없기에, 사랑은 계속된다
<히로시마 내 사랑>은 사랑과 전쟁이라는 두 거대한 주제를 문학적 언어와 영화적 이미지로 교차시키면서 누벨바그 영화가 도달한 철학적 깊이를 보여줍니다. 기억은 온전하게 보존되지는 않지만 그 파편은 감정의 형태로 계속해서 현재를 흔듭니다. 이 영화에서 사랑은 회복이 아니라 기억의 지속을 의미하며, 역사의 고통이 인간의 감정과 어떻게 얽히는 지를 섬세하게 보여줍니다. 결국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묻게 됩니다. 기억은 언제 윤리적 책임이 되고, 사랑은 언제 구원이 될 수 있는지를 말입니다. 그리고 그 질문은 시대를 초월하여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입니다.